Lesson 01 네트워크 구조
1. 네트워크
1)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한 컴퓨터 네트워크는 두 대 이상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턴 간에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2) 컴퓨터 간의 데이터(파일)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과 같은 일을 한다.
3) 인터넷은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 -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해외 웹 사이트도 접근 가능
2. 패킷이란?
1)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규칙이 있어야 하는데 패킷(packet)을 사용
2) 패킷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 큰 데이터가 있더라도 작게 나누어 보내는 게 규칙
2-1)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점유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기 때문
*대역폭(bandwidth) :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
3)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었기 때문에 목적지에서 원래대로 되돌리는 작업이 필요함.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패킷을 보낼 때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보냄.
Lesson 0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1. 비트와 바이트란?
1) 디지털 데이터란, 컴퓨터가 다루는 0과 1의 집합
2)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bit)라고 한다. 0과 1을 표현하는 1비트는 0또는 1인 숫자를 여덟 개 모아서 표시할 수 있는데 이 단위를 바이트(Byte)라고 부른다. 8bit = 1Byte
3) 숫자와 문자 대응표를 만들어 두어 문자를 출력할 수 있는데 그 문자 코드 중 하나인 ASCII(아스키) 코드가 있다. ASCII코드는 알파벳, 기호, 숫자 등을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문자 코드.
3-1) 문자도 문자 대응표에 대응하는 숫자를 패킷으로 나누어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3-2)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비트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로 네트워크에 전기 신호가 전송된다.
Lesson 03 랜과 왠
1. 랜과 왠의 차이
1) 랜(LAN, 근거리 통신망) :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가정이나 빌딩 안에 있는 사무실 같이 지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2) 왠(WAN, 광역 통신망) :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 랜과 랜을 연결하는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2-1)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 인터넷 상용 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는 KT, U+, SK 브로드밴드와 같은 사업자
3) 랜은 연결하는 거리가 짧은 만큼 신호가 약해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확률도 매우 낮고 속도가 빠르지만, 왠은 멀리 떨어져 있는 랜과 연결되어 있어서 신호가 약해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더 높고 느리다.
Lesson 04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1. 가정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1) 랜을 구성하고 ISP와 인터넷 회선을 결정(광랜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음)
2) 인터넷 공유기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필요. 라우터의 기능뿐만 아니라 허브, 스위칭 허브, 방화벽과 같은 다양한 기능 제공
3) 접속 방식에는 유선 랜 방식과 무선 랜 방식이 있다.
Lesson 05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1. 소규모 회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1) DMZ라는 네트워크 영역이 있다는 점이 가정용과 눈에 띄게 다른 점이다.
1-2) DMZ는 외부에 서버를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 웹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를 공개한다.
1-3)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려면 웹 서버를 외부에 공개하고 외부 사용자와 메일을 주고받으려면 메일 서버를 외부에 공개하고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회사의 서버에 접속하려면 DNS 서버를 외부에 공개해야 한다.
2) 직원 수가 많을 수록 스위치와 같은 장비가 늘고 랜 케이블 배선도 늘어남.
3) 서버 운영을 위해 서버를 사내에 설치하거나 데이터 센터에 두거나 클라우드에 들 수 있다.
4) 온프레미스 :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
4-1) 서버 실에 랙을 두고 관리하는데 랙 안에는 랙에 설치하기 적합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서버, 라우터,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는데 라우터는 무선 랜 기능이 있는 라우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5) 각 서버는 스위치와 연결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사무실 안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와 프린터도 근처에 있는 스위치에 연결하거나 무선 랜 기능을 통해 랜에 연결해야 네트워크 사용 가능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0) | 2022.12.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