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시 돌아가서 연습해보려니깐 이 전 커밋으로 돌아가는 코드가 필요해서 정리!

 

 

git checkout 커밋번호 -f

 

밑줄 친 곳은 커밋번호를 넣어주면 되는데

 

빨간 박스를 누르고 

돌아가고 싶은 지점을 클릭 후

 

우측에서 커밋 번호를 얻을 수 있다.

 

나는 파일 정리라고 커밋 메시지를 남긴 지점으로 체크아웃함!

반응형
반응형

1. commit / push 

 

최초 한번

git config --global user.name "ID 적기"

git config --global user.email "email적기"

 

프로젝트마다 한번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repo url 붙여넣기)

 

푸시할 때마다 한번

git pull origin master

git add .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작성"

git push origin master

 

2. PULL

 

가져오는 것 최초

 

-폴더 생성

 

git bash here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repo url 붙여넣기)

 

git pull origin master 

 

 

3. 커밋 메시지 수정

 

//push 하기 전 커밋 메시지 수정!!!

 

git commit --amend

 

커밋을 수정할 수 있는 창이 뜸

수정 완료한 후 esc -> :wq

 

4. 폴더 및 파일 삭제

 

git rm --cached -r 폴더명

git rm --cached -r 파일명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작성"

 

git push -u origin master

 

반응형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GITHUB] 깃허브 특정 커밋으로 돌아가기 (과거 여행)  (0) 2021.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