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Lesson 06 네트워크의 규칙
1. 프로토콜 이란?
1) 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2) 편지를 배송하는 것과 같이 데이터 전송하여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지켜야 하는 독립적인 여러 규칙을 거친다.
Lesson 07 OSI 모델과 TCP/IP 모델
1. OSI 모델이란?
1) 옛날에는 같은 회사 컴퓨터끼리만 통신이 가능했고 거기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도 회사별로 다르다면 곤란했기 때문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규격을 정해야만 했다.
2) 표준 규격을 정하는 단체 중 ISO라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OSI 모델이라는 표준 규격을 제정했다.
응용계층 : 이메일 및 파일 전송, 웹 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
표현 계층 : 문자코드, 압축, 암호화 등의 데이터를 변환
세션 계층 : 세선 체결, 통신 방식을 결정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통신 구현
네트워크 계층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를 결정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를 결정
물리 계층 :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
3) 송신 측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 전달. 각 계층은 독립적이므로 데이터 전달되는 동안 다른 계층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수신 측은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각 계층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받는다.
2. TCP/IP 모델이란?
1) OSI 모델의 표현 계층, 세션 계층이 TCP/IP 모델에서는 응용 계층으로 포함
Lesson 08 캡슐화와 역캡슐화
1. 캡슐화와 역캡슐화란?
1) 데이터의 앞부분에 전송할 때 필요한 정보를 붙여서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 하는데, 이 정보를 헤더라고 한다.
1-2) 헤더는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2) 헤더를 붙여 나가는 것을 캡슐화라고 하는데 데이터 받는 족에서 헤더를 하나씩 제거하는 것을 역캡슐화라고 한다.
<송신 측 컴퓨터에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상황>
1. 응용 계층에서 웹 사이트를 접속하기 위한 요청 데이터 생성
2. 해당 데이터를 전송 계층으로 전달되는데 전송 계층에서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응용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헤더를 붙인다. (캡슐화)
3. 전송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를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계층에서 헤더를 붙인다.
4. 네트워크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물리적인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헤더와 트레일러를 붙인다.
4-1) 트레일러는 데이터를 전달할 때 데이터의 마지막에 추가하는 정보를 말함.
5)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전기 신호로 변환돼서 수신 측에 도착한다.
6) 수신 측에서는 각 계층의 헤더를 제거하면서 데이터를 전달하고 반대로 데이터 링크 계층부터 순서대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